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

해양 조류에 흡착된 미세플라스틱 연구 1. 해양 조류와 미세플라스틱의 접점해양 조류는 바다 표면에서 광합성을 수행하며 해양생태계의 1차 생산을 담당한다. 그러나 최근 해양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이 이들의 서식 환경에 깊이 침투하고 있다. 플라스틱 폐기물은 자외선, 파도, 염분 등의 영향으로 5mm 이하의 입자로 부서져 해류를 따라 전 지구적으로 확산된다. 이러한 부유 입자는 조류가 부착하거나 성장하는 해양 표면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미세플라스틱이 부유성기질(floating substrate)로 작용해 조류의 생활사와 상호작용한다. 실제로 연안 지역의 미세플라스틱 밀도는 해양심부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나며, 이는 조류가 서식하는 광합성 가능 수심대에서 플라스틱과의 물리적 접촉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따라서 .. 2025. 10. 11.
자외선에 노출된 플라스틱의 미세화 과정 1. 자외선 조사와 플라스틱의 광화학적 열화 개시플라스틱이 자외선에 노출될 때 가장 먼저 일어나는 변화는 광화학적 열화(photodegradation)이다.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탄소-탄소(C–C) 또는 탄소-수소(C–H)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은 자외선(UV-B, UV-C)의 고에너지 광자에 의해 쉽게 절단된다. 플라스틱 표면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내부 고분자 사슬 내에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생성되고, 이 라디칼이 연쇄 반응을 일으켜 산화 및 분해 과정을 유도한다. 이때 형성된 과산화물(ROOH), 알데하이드, 케톤 등의 산화 생성물이 플라스틱의 색 변화와 강도 저하를 일으킨다. 특히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타이렌(PS) 등 비극성 플라스틱은 자외선 흡.. 2025. 10. 10.
미세플라스틱이 농작물 뿌리를 통해 흡수되는 과정 1.미세플라스틱의 토양 유입 경로와 분포미세플라스틱이 농작물의 뿌리에 흡수되기 위한 첫 단계는 토양으로의 유입이다. 이 미세입자들은 농업용 비닐멀칭, 폐플라스틱 비료 포장, 하수 슬러지 퇴비, 또는 관개수의 미세섬유 잔류물 등을 통해 토양에 축적된다. 특히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멀칭 필름은 자외선과 온도 변화로 인해 미세하게 분해되어 입경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를 형성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비료나 유기 퇴비에 혼입되어 재차 토양으로 공급되며, 반복적인 경작 과정에서 상층 토양에 고르게 분포된다. 연구 결과, 농경지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도시 주변보다 2~3배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며, 특히 입경 10μm 이하의 나노 수준 입자는 토양공극 사이에 안정적으로 존재한다. 토양.. 2025. 10. 9.
미세플라스틱과 기후 변화 간의 연관성 1. 미세플라스틱의 기후계 영향 개요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지구 기후 변화와 무관한 독립적 오염원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들은 양자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플라스틱의 생산·소비·폐기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가 배출되며, 그중 상당량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합성수지 제조 과정에서는 연간 수억 톤의 탄소가 배출되고, 이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3~5%를 차지한다. 특히 플라스틱이 미세 입자로 분해될 때에도 태양광 자외선(UV)에 의한 광열 반응을 통해 메탄(CH₄)과 에틸렌(C₂H₄) 같은 온실가스를 지속적으로 방출한다. 이러한 ‘플라스틱-탄소 순환’은 단순한 물질 분해 현상이 아니라, 지구 온난화를.. 2025. 10. 8.
인공섬유 의류 건조 시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미세섬유 1. 인공섬유 의류와 미세섬유 방출의 원리현대의 의류 산업에서 사용되는 인공섬유, 즉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아크릴(acrylic) 등의 합성섬유는 내구성과 신축성, 세탁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섬유는 석유계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마찰이나 열,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미세한 섬유 조각이 떨어져 나가며 환경에 유입된다. 특히 건조기의 강한 회전력과 열풍은 의류 표면의 마모를 가속화시켜 미세섬유(microfiber)를 대량으로 방출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건조 과정 중 섬유끼리의 충돌, 의류 표면의 정전기 축적, 그리고 공기 흐름에 의한 마찰은 미세섬유의 분리를 촉진한다. 이때 발생하는 미세섬유는 직경이 5마이크로미터 이.. 2025. 10. 7.
낚시용 합성섬유 줄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1. 합성섬유 낚싯줄의 특성과 마모 과정 낚시용 줄은 전통적으로 면이나 마 등 천연섬유가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PE) 등 합성섬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재질은 강도가 높고 수분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며, 가벼우면서도 신축성이 있어 낚싯바늘과 찌, 봉돌 등과의 복합적 사용 환경에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은 동시에 환경적 문제를 낳는다. 낚시 중 낚싯줄은 바위, 모래, 나무뿌리, 인공구조물 등에 반복적으로 마찰되면서 표면이 손상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미세플라스틱을 형성한다. 또한 햇빛의 자외선과 물속의 염분, 온도 변화에 의해 합성섬유가 산화·열화되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강도가 높은 재질일수록 파편이 더 오래 잔존해.. 2025. 10. 6.